기준금리가 하락해도, 여전히 고금리 예금 상품을 제공하는 은행은 존재합니다.
정기예금은 원금 보장에 이자도 안정적으로 받을 수 있어, 단기 재테크 수단으로 적합합니다.
오늘은 2025년 현재 가입해도 괜찮은 고금리 예금 상품들을 비교해보겠습니다.
1. SBI저축은행 - 정기예금 (연 4.30%)
- 가입 방식: 앱 또는 홈페이지
- 예치 기간: 12개월
- 이자 지급 방식: 만기 일시지급
- 예치 한도: 1인 최대 5천만 원
- 특징: 간편 가입 + 비교적 높은 금리 유지
👉 고금리 + 모바일 편의성까지 갖춘 대표 예금 상품.
1년 만기 후 세후 수익률 약 3.65% 내외로 계산됩니다.
2. OK저축은행 - OK정기예금 (연 4.20%)
- 가입 방식: OK모바일 앱, 인터넷뱅킹
- 예치 기간: 12개월
- 이자 지급 방식: 만기 일시지급 / 매월 이자지급 선택 가능
- 특징: 다양한 이자 수령 방식 제공
👉 월 이자 수령 기능으로 ‘생활비 용도’로 분산 수령 가능.
노후 준비나 은퇴 자금 관리용으로 적합한 상품입니다.
3. 하나은행 - e-금리우대정기예금 (연 3.90%)
- 가입 방식: 인터넷/모바일 전용
- 가입 조건: 급여 이체 또는 자동이체 설정 시 우대 금리 제공
- 예치 기간: 12개월
- 특징: 기존 거래 고객에겐 추가 우대 가능
👉 1금융권 안심감 + 실적 우대 조건을 만족할 수 있다면 꽤 경쟁력 있는 상품입니다.
4. 부산은행 - BNK WIZ 정기예금 (연 4.00%)
- 가입 방식: BNK 모바일 앱 전용
- 가입 조건: WIZ 등급, 자동이체 설정 등
- 예치 기간: 12개월
- 특징: 지역 은행 중 가장 높은 수준의 금리
👉 지방 거주자 or BNK 거래자에게 추천. 은행 신뢰도 높고, 앱도 사용자 친화적입니다.
5. 페퍼저축은행 - 정기예금 (연 4.10%)
- 가입 방식: 페퍼루 앱
- 예치 기간: 12개월
- 이자 지급: 만기 또는 매월 선택
- 특징: 1인당 최대 5천만 원, 원리금 보장
👉 중소형 저축은행이지만 금리 메리트는 충분.
**가입 시 예금자보호법 적용(5천만 원 한도)**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.
📌 정기예금 금리 비교 요약 (2025년 6월 기준)
은행금리(연)가입 방식예치 기간특징
SBI저축은행 |
4.30% |
앱/홈페이지 |
12개월 |
모바일 간편가입, 안정금리 |
OK저축은행 |
4.20% |
앱/PC |
12개월 |
월이자 지급 가능 |
하나은행 |
3.90% |
모바일 |
12개월 |
우대 실적 시 적용 |
부산은행 |
4.00% |
모바일 |
12개월 |
지역 기반 고금리 |
페퍼저축은행 |
4.10% |
앱 |
12개월 |
고금리 + 원금보장 |
🔍 정기예금 이자 계산 예시 (세후 기준)
- 예치금: 1,000만 원
- 이자율: 4.3%
- 세전 이자: 43만 원
- 세후 이자(15.4% 세금 공제): 약 36만 4천 원
→ 1년 후 약 1,036,400원 수령
👉 단기 안전 재테크로서 정기예금은 여전히 매력적입니다.
💬 마무리 TIP
- 저축은행 상품은 금리가 높지만, 반드시 예금자보호법 적용 여부 확인 필수
- 금리만 보고 선택하지 말고, 앱 편의성, 이자 수령 방식 등도 함께 고려
- 2~3개 은행 분산 예치도 리스크 관리에 효과적