전산응용기계제도기능사란?
- 시행처: 한국산업인력공단
- 자격 종류: 국가기술자격 기능사
- 응시자격: 학력, 경력 제한 없음
- 주요 업무: CAD를 활용한 기계부품 도면 작성, 치수기입, 설계 변경 등 제도 작업
전산응용기계제도기능사 시험 과목
구분과목비고
| 필기 |
기계제도, 기계재료, 기계요소설계, 컴퓨터응용설계 |
객관식 60분 |
| 실기 |
전산응용기계제도 작업 |
작업형 (CAD 기반 도면 작성 및 출력) |
TIP: 실기에서는 AutoCAD 도구 활용능력, 2D 도면 작성 규격의 정확성이 매우 중요합니다.
시험 난이도 및 합격률
- 필기 합격률: 약 45~60%
- 실기 합격률: 약 35~50%
→ 오탈자, 치수 단위 오류, 선종·선형 구분 미숙으로 실기 탈락 많음
공부 기간 및 비용
구분내용
| 이론 공부 |
약 2~3주 (제도 기본 지식 기준) |
| 실기 연습 |
학원 기준 약 3~5주 (CAD 실습 포함) |
| 응시료 |
필기 11,900원 / 실기 30,900원 |
| 교재비 |
약 2만~3만 원 |
| 실기 학원비 |
약 50~70만 원 (CAD 실습 포함 기준) |
이런 분께 추천합니다
- 설비·정비 업무 시 도면 해독 능력 보완이 필요한 실무자
- 공공기관 기계직 공무원 또는 공기업 기술직 준비생
- 기계 설계, 생산, 도면검토 업무에 진출하고자 하는 취업 준비자
- 설비보전, 기계정비, 건축설비 기능사 등과 병행 시 시너지 효과 기대자
합격 꿀팁
- KS 규격 중심 도면 작성 연습: 중심선, 절단선, 해칭, 치수선 등 기본 선종 구분
- CAD 단축키 반복 숙지: LINE, OFFSET, DIM 등 시험용 명령어 암기
- 도면 문제 해석능력 강화: 정면도, 평면도, 측면도 간 도형 일치 확인
- 출력조건 정확히 확인: 도면 크기, 비례, 선굵기 실수 없이 완성
개인 경험 기반 조언
전산응용기계제도기능사는 도면을 읽고 그릴 수 있는 기초기술자의 증명입니다.
단순 설계가 아니라 정비, 제작, 생산, 시공 현장에서 도면을 이해하고 반영하는 능력은 매우 중요합니다.
설비보전기능사나 건축설비기능사처럼 기계 분야 기능사 보유자라면 CAD 기반 도면까지 익혀야 업무 대응력이 높아집니다.
결론: 꼭 따야 할 자격증일까?
YES.
전산응용기계제도기능사는 현장 실무자가 도면을 제대로 읽고 해석하는 능력을 갖추기 위한 가장 현실적인 자격증입니다.
설비직, 정비직, 공무직에서 문서와 도면을 다룰 때 이 자격증 유무가 실력을 증명해주는 기준이 됩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