청년이라면 누구나 한 번쯤 들어봤을 청년도약계좌,
하지만 정확한 가입 조건, 실제 수령액, 정부 지원금 구조를 아는 사람은 많지 않습니다.
이번 글에서는 직접 가입한 사용자 기준 후기 + 수령액 시뮬레이션까지
2025년 기준 완전 정리해드립니다.
👉 목적: 청년의 자립 기반 형성, 주택 구입·결혼·창업 자금 준비
나이 | 만 19~34세 (병역이행자 최대 6년 추가) |
소득 | 총급여 7,500만 원 이하 / 종합소득 6,300만 원 이하 |
가구소득 | 중위소득 180% 이하 (소득분위 1~6분위) |
재산 | 가구 재산 합계 3.8억 원 이하 |
근로 여부 | 근로 중이거나 사업소득 있어야 함 |
👉 회사원, 프리랜서, 소상공인, 알바생 모두 가능
👉 기초생활수급자·차상위는 별도 매칭 구조 적용
30만 원 | 약 10~20만 원 | 약 3,200만 원 |
50만 원 | 약 20~30만 원 | 약 4,200만 원 |
70만 원 | 약 30~40만 원 | 약 5,000만 원 |
※ 정부 지원금은 소득 수준에 따라 차등 지급
※ 금리는 은행별로 2.5~3.5% 내외
A씨 (만 30세, 직장인, 월 소득 280만 원)
국민은행 | 앱 UX 가장 간편 | KB스타뱅킹 앱 |
신한은행 | 상담 친절 / 지점 연계 좋음 | 쏠(SOL) 앱 또는 지점 |
기업은행 | 정책 상품 취급 익숙함 | i-ONE 뱅크 앱 |
우리은행 | 중도 해지율 낮음 / 안정감 | 우리WON뱅킹 |
하나은행 | 모바일 중심 가입 가능 | 하나원큐 앱 |
가입 방법:
① 앱 접속 → 청년도약계좌 메뉴 → 본인 인증
② 소득 및 가구 정보 자동 연계 (국세청/건보공단)
③ 납입 금액 설정 → 자동이체 설정 → 완료
👉 2025년엔 청년도약계좌가 유일한 청년형 장기 저축 지원 상품